오늘은 전화로 많은 문의가 있는 아파트 층간소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아파트에 살고 있지만 아파트 층간소음은 정말 뭐라 할 말이 없네요.
왜냐면 우리 아들도 아래층에서 층간소음으로 전화를 받아서 현하아빠도 할 말이 없네요.
저도 아래층에서 층간소음으로 전화가 와 무조건 미안하다고 했네요.
그래도 누구나 보기만 하면 인사를 잘 하는 현하아빠때문에 아래층에서 크게 뭐라 하지 않아 그나마 다행입니다.
우리 아들 뛰지 말라고 그렇게 주의를 주어도 남자아이라 그런지 뭘 그리 쿵쿵대며 다니는지......
어쩔때는 아래층에서 전화가 올까봐 가슴이 두근두근 하답니다.
하지만 이렇게 층간소음도 아래층과 원만한 교류가 있으면 층간소음이 있어도 원만하게 해결이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아래층과 윗층간의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가 많답니다.
그래도 오늘 아파트 층감소음의 법적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적용대상
- 주택법 제2조2호에 따른 공동주택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이 대상
2) 층간소음의 범위
- 아이들이 뛰는 동작 등 벽, 바닥에 직접 충격을 가하여 발생하는 직접충격 소음과 텔레비전, 피아노 등의 악기에서
발생하는 공기전달 소음으로 하고 욕실 등에서 발생하는 급배수 소음은 제외한다.
- 창문을 닫거나 두드리는 소음, 헬스기구, 골프연습기 등의 운동기구에서 발생하는 소음
- 층간소음은 위, 아래층 세대와 함께 옆집도 포함하는 세대간에 발생하는 층간소음 전체를 대상으로 함.
3) 층간소음방지 가이드라인
- 대상별 적용기준 비교표
4) 층간소음기준
- 1분 등가소음도(Leq) 주간 43dB (A), 야간 38dB (A)
- 최고소음도 (Lmax) 주간 57dB (A), 야간 52dB (A)
1분 등가소음도는 1분동안 발생한 변동소음을 정상소음의 에너지로 등가하여 얻으며
최고소음도는 충격음이 최대로 발생한 소음을 측정합니다.
이는 지난해 연구용역(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거쳐 완공된 30개 아파트를 대상으로 실제충격음을 재현하는 실험을 통해
설정하고 그 기준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주간과 야간에 1분간 발생하는 소음을 기준으로 한다고 합니다.
이제 해당하는 정도의 층간소음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면 법적기준에 근거해 신고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5) 신고센터
-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 1661-2642
운영시간 : 09:00 ~ 18:00 (점심시간 12:00 ~ 13:00)
- 온라인접수 : 국가소음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noiseinfo.or.kr
- 신청대상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및 5대 광역시 공동주택 주택거주자
5대 광역시 : 부산, 대구, 울산, 대전, 광주
- 처리절차
- 아파트 층간소음 방지 법
우리 아이가 많이 뛰는 아이라고 하면 매트리스를 바닥에 깔아노으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랍니다.
매트리스가 충격을 한번 완화시켜주므로 한층 소음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그리고 집에서는 슬리퍼 두꺼운걸 신고 다녀도 소음이 많이 완화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하아빠가 소개한 대로 절차를 겨쳐 신청하면 되지만 이것도 기준이라는 것이지 법적인 효력은 없다보니
주민들간에 원만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생긴 단체라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하아빠처럼 아랫집, 윗집, 앞집간에 서로 얼굴보며 친하게 지내다보면 이런 소음들도 한결 작게 들리고
이런 교류가 없다면 아마 그 소음도 더욱 더 크게 들리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이들로 인한 소음발생 시 차라리 아래층으로 아이들을 데리고 가 아이가 사과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자기 자식을 너무나 귀하게만 키우다보니 이런 층간소음이 어른들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가 많네요.
아이가 잘못하면 따끔하게 훈계하고 본인이 위층에서 뛰는 소리를 한번정도 들려주면
아~! 내가 조심해야겠구나 하고 생각할 수도 있답니다.
아이가 어려서 안된다구요?
우리 아이들이 어른들보다 더 현명하고 판단력이 올바르답니다.
싸움과 고성보다는 이렇게 이웃간에 소통으로 층간소음을 극복해보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상식,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빌라, 신축빌라 매매시 소요비용, 필요경비 (0) | 2016.01.21 |
---|---|
아파트 하자보수기간 (0) | 2016.01.20 |
아파트 전용면적, 분양면적, 공급면적이란? (0) | 2016.01.18 |
아파트분양받는 법 (아파트 청약절차) (0) | 2016.01.17 |
아파트분양권 전매시 양도소득세 (0) | 2016.01.16 |